1. 배열의 선언 자바의 배열 선언은 크게 2가지의 과정을 거친다. 첫째 배열 선언 - 주소값을 가지지 않은 변수생성(Stack영역)자료형[] 변수이름; or자료형 변수이름[];ex) int[] arr; or int arr[]; 두번째 배열의 할당 - 배열객체 생성후 변수에 주소값 할당(Heap영역) 초기화단계변수이름 = new 자료형[저장데이터개수];ex) arr = new int[5]; 배열선언으로 사용할 자료형과 변수이름을 설정하고 이 배열을 쓸 저장공간을 일일히 따로프로그래머가 직접 할당해줘야 사용할 이름과 힙영역에 공간을 만들어 달라고 하는것이다. 배열의 할당을 하면 공간을 만들면서 자동으로 초기화가 되는데 처음에 초기화를 하면서 배열할당이 가능하다.ex) int []arr={1,2,3,4,5}..
1.이클립스 File -> Import를 클릭한다. 2.General 하위에 있는 Existing project into workspace 로 나의 워크스페이스안에 추가한다. 3. 파일 자체를 추가하고 싶을 땐 위에 있는 directory를 이용하고 하나씩 파일별로 넣고 싶을 땐 file로 추가한다. 폴더 단위로 한번에 임포트 할때! 파일에 있는 Open Projects from File System을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에 있는 디렉토리를 클릭해 소스들이 있는 폴더를 넣고 피니쉬를 하면 여태까지 진행한 모든 프로젝트들이 일괄 적용된다. 짠! 글씨가 깨져서 제대로 안보일때!!file에 properties를 들어가 준다. 2. 아래 Default를 Other로 바꾸고 utf-8 과 같은 정상적으로 보일 수..
간략하게 자바에서의 난수 생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한다. int random = (int)Math.random(); 으로 만들경우 1~0.99까지 int 값이 생성된다.그래서 우리가 활용을 하고싶을 땐(int)Math.random()*10 //0~9 까지의 난수 발생(int)Math.random()*100 //0~99 까지의 난수 발생 이런식으로 곱을 해줘야 한다 그리고 0~9까지는 +1 더해줘서 1~10까지의 난수로 변경이 가능하다. 그렇지 않으면 원하는 숫자안에서 난수를 발생 시킬 수 있는데방식은 메소드를 통해 만들어 볼 수 있다.public static int randomRange(int n1, int n2) //n2가 max값 n1이 min값을 뜻함 { return (int) (Math.rand..
1. If문 조건문이나 반복문은 필자가 많이 알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따로 정리까진 필요가 없으나학원에서 푸는 실습문제들 정도만 올릴 계획이다.그러다 정리가 필요한 부분이 생기면 그 부분만 나중에 따로 정리할 계획이다. 2. switch 문 표현식 switch(변수){case 1: System.out.println("안녕"); break;case 2"김밥": System.out.println("김밥은 천원"); break; default : .....; } 3. 복합 조건문
1. 단항 연산자 ++, --(증감연산자)전위연산 : 자신의 연산을 우선 실행 후 다음 연산int a=5;int b = ++a; 결과 값: a=6, b=6 후위연산자 : 자신이 속해 있는 연산을 먼저 실행 종료 후 자신의 연산 실행int a=5;int b=a++;결과 값: a=6, b=5 실습 예제!!정수형 변수 a,b,c,에 각각 10, 20, 30을 넣고 다음 연산을 수행하고 a,b,c,의 값을 출력하시오.a++, b=(--a)+b, c=(a++)+(--b)정답은 밑에 공개! 2. 산술 연산자 우선 대표적으로 *,/,% 가 있는데 다른 사칙 연산은 자료형이 변할 일이 크게 없지만나누기의 몫을 구하는 '/'과 나머지를 구하는 '%'는 자료형이 정수에서 실수로 바뀌기 때문에유의할 점이 있다. int a ..